죽녹원 입구이다.





블로그 이미지

와사비망고

,

광주 광산구에서 담양까지 자전거로 가기엔 정말 멀다. 

(오후 1시 30분에 출발해서 집에 도착하니 저녁 10시 10분)

편도로 가서 돌아올 땐 터미널의 광주로가는 직행 버스에 자전거를 실어와야 한다.

또 주의해야할것은 직행버스에 자전거가 겨우 들어가는데다 최대 2대를 넣을 수 있다.

자전거를 접이식을 가져가거나 두사람 초과해서 무리를 이뤄 같이 가면

버스로 돌아올때 귀찬다. ( 직행버스 여러대에 나눠 타야하는 ) 

가다가 농가의 똥냄새의 구간을 한번정도 지나야 한다. ( 마스크 필요 ) 

결론 : 나에겐 자전거 타고 갈만한곳은 아니었다. ( 차로 운전해서 한번쯤 떡갈비 먹으러 가보는건 괜찬은 ) 



전남 담양의 1박2일 촬영지 떡갈비본가




담양터미널의 광주 직행버스를 기다리고 있다.

집에 갈 수 있는건가 동동구르며 한 컷

다행히 자전거용 짐칸이 좁지만 광주로 가는 직행버스가 있다.





속이 부글거려 망고식스에서 비싼 블루베리스무디를 5800원에 먹었다.













광주 광천 터미널에서 광산구까지 또 자전거로 이동해서 집으로 돌아왔다.

블로그 이미지

와사비망고

,

웹페이지 개발시 로딩속도가 느린 원인을 찾기위해 특정 코드의 시간측정을 할 때 

사용하는 javascript 타이머 클래스를 만들어 보았다. 

내 경우 css 파일 link 로 읽어오는 부분에서 많은 시간을 먹는 경우가 많았다.





  javascript 클래스정의부분

<script type="text/javascript">


//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//타이머 javascript 클래스정의 //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var Timer = function(sWorkName) { this._sWorkName = sWorkName ; this._old = null; this._now = null; this._gap = 0; }; Timer.prototype = { start : function() { this._old = new Date(); }, end : function() { this._now = new Date(); this._gap = this._now.getTime() - this._old.getTime(); }, getDur : function(){ this._gap; }, _alert : function(){ var sec_gap = this._gap % 1000; var min_gap = this._gap / 1000 /60; alert( this._sWorkName +" 작업이 " + min_gap+'분 '+sec_gap+'초 가 걸렸습니다.'); } } Timer.prototype.constructor = Timer; //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
</script>






  사용하는 부분

<script type="text/javascript">

var timer1 = new Timer("작업1"); timer1.start(); //▼▼▼▼▼▼▼▼▼▼▼▼▼▼▼▼▼▼▼▼▼▼▼▼▼▼ //시간 체크할 작업 코드들 위치... for(i = 0 ; i< 100000;i++){ console.log(i); } //▲▲▲▲▲▲▲▲▲▲▲▲▲▲▲▲▲▲▲▲▲▲▲▲▲▲▲ timer1.end(); timer1._alert();

</script>



블로그 이미지

와사비망고

,